세계 경제, 상승세일지 하락세일지 쉽게 알아보는 방법


세계 경제를 쉽게 알아보는 방법

세계 경제에 대해 모두 알고자하기 보다는 ETF를 선택하기 위해서
앞으로 세계 경제가 상승세로 접어들지, 또는 하락세로 접어들지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들을 알아본다.

세계 경제가 좋지 않으면!
투자 감소 --> 기업 신규투자 출시 미룸
광고주는 광고를 줄이고
개인은 소비를 줄이고
이는 결국 증시가 약해지게 됨

세계 경제가 좋아지면!
생산성의 향상 --> 기업 실적 증가
신사업 투자 활발
소비 증가
이는 결국 증시가 좋아짐


OECD 경기선행지수

OECD CLI (Composite Leading Index)
향후 6개월 정도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지수.

OECD CLI 그래프 바로보기

OECD 경제전망 보고서 보기 (2024년 9월 25일)


  • 각 국가별 데이터로 발표됨
  • 국가별 경제 구조, 금융시장 등 개별적인 특성이 반영된 지표이기 때문에 구성 항목이 모두 다름.
  • 약 36개국의 지수를 제공하고 이를 종합해 글로벌 경기선행지수를 구함.
  • 국가별 선행지수를 구한 뒤 국가의 경제 규모에 따라 가중 평균을 한 수치.
  • 100점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과 위축 국면으로 나눔. (100pt 미만이면 위축국면, 100pt 이상이면 확장국면)
  • 세분해서 본다면 네 가지 확장, 둔화, 위축, 회복으로 볼 수 있음.
  • 그래프로 볼 경우 100pt를 기준으로 우상향하면 확장, 하락하는 모양새면 둔화, 100pt 밑으로 계속 떨어지면 위축, 100pt를 넘지는 않았지만 반등하고 있다면 회복 국면이다.

최근 5년간의 OECD CLI
(출처 한국은행)

최근 1년간의 OECD CLI
(출처 한국은행)

위 그래프를 보면 최근 1년 기준
한국은 확장 국면
미국은 회복+둔화 국면
중국 둔화+확장 국면


물론!
OECD 경기선행지수를 맹신해서는 안됨.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할 때 세계 또는 국가 경제가 어떻게 변하게 될것인가를 판단하는데 활용한 선으로 이용.




IMF 세계경제전망

국제통화기금 IMF에서 1년에 4차례 발간하는 "세계경제전망 World Economic Outlook"
영어다.

리포트를 보고 이렇게 분석해보자.

1. 2024년 1월 "Moderating Inflation and Steady Growth Open Path to Soft Landing" 리포트 발간.
2024년 전 세계 GDP를 지난해 11월 전망보다 0.2% 포인트 상향 조정
--> 세계 경제가 살아나고 있구나,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는 구나 파악
-->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ETF 포트폴리오 조절

2. 2024년 4월 "Steady but Slow : Resilience Amid Divergence" 리포트 발간
경제 회복은 지속 중이지만 속도가 느리다고 평가
신흥국보다는 선진국 경제성장률이 더 좋을 것이라 저너망
--> 1월 발표 리포트와 함께 참고하여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 선진국 비중을 늘려야 겠다고 생각.


*관련자료 다운받기

[국제경제동향] 제2024-9호(7월 IMF 세계경제전망 수정보고서 주요 내용)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다운로드

 

결론

위와 같이 신빙성이 높은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참고하여, 경제가 현재 어떤 국면인지 파악하여
경제가 좋을때는 주식 비중을 늘리고, 경제가 좋지 않을 땐 채권 비중 및 안정저거인 자산 비중을 늘리는것이 기본이라 하겠다.


  • 10년 이상 보유할 것이 아니라면 10분도 보유하지 말라
  • 자식에게 물려줄 주식이 아니면 사지 말라
  • -워런버핏
다음 이전

نموذج الاتصا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