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요즘 배당금으로 제2의 월급을 실현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데,
커버드콜 ETF란 뭔지 알고 투자해요.
커버드콜 개념을 알려면
우선 콜옵션 개념을 알아야하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콜옵션에 대해 먼저 알아봐요.
본문
커버드콜의 '콜'의 의미부터!
콜옵션, 풋옵션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예를들어 삼성전자 주식으로 설명하자면
1년뒤 주가를 7만원에 살 수 있는 권리(프리미엄)를
1,000원에 파는 상품을 콜옵션 상품이라 한다.
1,000원에 파는 상품을 콜옵션 상품이라 한다.
실제 1년뒤 주가가
7만원이라면 -1000원 손해
8만원이라면 +9,000원 이익 (시세차익-권리구매액)
9만원이라면 +19,000원 이익
이 되는것이다. 즉 7만원에 살수 있는 권리이므로
이 이상의 시세가 되는경우 권리금액을 빼고 나의 수익이 되는것이다.
이 이상의 시세가 되는경우 권리금액을 빼고 나의 수익이 되는것이다.
거꾸로 1년뒤 주가가
6만원이하라도 권리로 1000원에 샀으므로 손해는 -1000원
개념이해를 위한 예시, '아파트 분양권'
- 분양가 5억(기초자산)의 아파트의 분양권 2,000만원(프리미엄)
- 실제 구매시 시세가 5억2천 미만이면 손실, 이상이면 이익
관련개념&용어 정리
- 옵션거래 : 파생상품 중 하나
- 기초자산 : 주식, 화폐, 원자재 등
- 프리미엄 : 옵션 가격 (살고 팔수 있는 권리)
콜옵션의 장단점
장점 :
- 해당 자산이 만기일 기준으로 오르면 오른 만큼(프리미엄 빼고) 모두 수익
- 적은 자본으로 큰 규모의 기초자산에 노출될 수 있는 레버리지 효과.
- 매수자가 지불한 프리미엄에 한해 손실이 제한
단점 :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줄어들어 만기시 가치가 완전히 소멸.
- 오래 보유하면 가치가 소실
- 옵션시장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필요.
- 주식시장보다 더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높은 리스크와 예측이 어려움.
- 프리미엄 비용을 감수해야함.
결론
- 파생상품이기에 시장의 변동성이 크므로 리스크 또한 크다.
- 직접투자 보다는 커머드콜 ETF를 통해 투자한다.
Tags
주식